
오늘은 안과에 방문했을 때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ARK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ARK검사란?
ARK검사는 Autorefractor & Keratometor의 약자로 자동으로 굴절, 각막곡률 검사입니다. 안과나 안경원에 가서 이마와 턱을 대고 집이나 열기구사진을 보고 검사를 받아본 적 있으신가요? 그 검사가 바로 오늘 알려드릴 ARK검사입니다.
자동굴절검사를 할 때 화면 안에 열기구나 집 모양이 흐렸다가 또렷해졌다가 하는 경험을 해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렌즈의 도수가 변화하며 우리 눈의 구면 렌즈 도수 및 원주렌즈의 도수와 측을 측정해주며 각막난시도수 및 축을 측정해주는 기계입니다.
Autorefractor은 굴절검사라고 하며 우리 눈의 굴절값, 눈의 도수를 측정하며 Keratometor은 각막곡률을 측정해줍니다.
2. 검사결과지

ARK의 검사결과지는 검사기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겠지만 그 안에 들어있는 기본 정보는 같습니다. 용어가 낯설고 숫자가 복잡해보이지만 하나하나 살펴서 익힌다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각각의 결과들을 한번 살펴볼까요??
3. 검사 결과 보는 방법

- REF(autorefractor 읽기 ; SPH, CYL, AX)
[REF]는 굴절검사로 눈의 도수, 굴절값을 나타내는 검사입니다. VD는 측정기와 눈까지 거리
[REF]값은 하단에 SPH, CYL, AX 이렇게 세가지 값으로 표시되는데 각각 어떤 것을 의미할까요?
SPH는 Spherical의 약자로 구면이라는 뜻입니다. 우리 눈의 근시, 원시에 대한 값을 표시해줍니다. D(Diopter)로 표시하며 +는 원시 -는 근시로 이해할 수 있으며 절대가가 커지면 근시나 원시가 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CYL는 Cylindrical의 약자로 난시의 값을 의미합니다. 절대값이 커질수록 난시가 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AX는 Axis로 난시의 축, 각도를 나타냅니다.
[] 괄호 안의 값은 위 세가지 값의 평균값을 나타냅니다.
-KER(keratomator 읽기 ; INDEX, Cen mm, D, AX)
[KER]값은 각막 전면의 곡률값이며 곡률은 곡선 또는 곡면의 휨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의미합니다. 각막이 볼록(steep)한지, 편평(flat)한지, 부정왜곡(각막난시)의 여부를 측정합니다.
INDEX는 굴절률을 의미하며 각막과 눈의 평균 굴절률 1.3375입니다.
Cen은 centroid로 각막의 곡률반경을 의미합니다.
D는 Diopter로 굴절률과 각막의 곡률반경으로 맺히는 초점거리를 디옵터로 환산한 값입니다.
AX는 각막의 난시 중 굴절력이 낮은 축과 높은 축 두가지를 표시합니다.
REF 값과 마찬가지로 []괄호 안의 값은 위 검사의 평균값을 나타냅니다.
PD는 눈 사이의 거리를 표시합니다. 자세히 말하자면 Pupil distance로 양 눈의 동공 중심 간의 거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