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검사

안과 검사 : 각막 기능 검사 (각막내피세포평가) SM;specular microscopy

따봉도치🐷 2023. 10. 6. 16:08

 

각막의 건강상태를 보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 중 각막경면현미경(SM) 검사가 있습니다. 병원에서 흔히 사용하는 용어는 SM ; specular microscopy 이라고 한다.

 

1.  검사 기계

SM검사는 쉽게 말해 각막 내피세포가 얼마나 건강한지, 각막 세포가 건강한 모양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눈 전용 현미경이다.

현미경이라고 해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세포를 들여다보는 현미경 모양을 상상할 수 있겠지만 눈을 위한 현미경이라 검사자가 기계 현미경 앞에 턱과 이마를 대고 앞을 응시하며 검사한다. 

 

2. SM ; Specular Microscopy 검사를 하는 경우

- 각막 이상 평가를 위해 시행 : 각막의 이상 질환을 진단하고 추적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각막의 염증과 각막 기능이상, 각막결절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안과 수술 전 각막 건강도 평가를 위해 시행 : 안과 수술을 고려하는 환자의 각막 내피 세포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검사를 시행합니다. 각막의 건강도에 따라 수술 후 시력을 회복하거나, 합병증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렌즈 착용자의 각막 건강도 평가를 위해 시행 : 렌즈를 오랜 기간 착용한 사람들은 각막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를 가질 수 있다.

- 각막 이식 후 각막 상태 파악을 위해 시행 : 각막을 이식받은 환자들의 각막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식된 각막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합병증을 빠르게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다.

3. SM 검사로 알 수 있는 각막 상태

- 각막 세포의 갯수와 농도 : 각막 세포의 갯수와 농도를 측정하여 정상범위에 있는지 확인한다.

- 세포의 모양과 크기 : 세포는 일정한 크기와 다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비정상적인 크기나 형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세포의 패턴과 배치 : 정상적으로 세포가 균일하게 배열되어있는지 확인한다.

- 세포의 간격 : 세포가 적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있어야 하며 이를 검사할 수 있다..

4. 검사 결과 (CCT, CD, CV, HEX, AVG, SD)

SM 검사 결과지

- CCT (central corneal thickness 각막 중심 두께) 

각막 중심부의 두께를 측정한 값이며 이 결과지의 눈의 값은 518로 측정되었습니다. 정상적인 값은 525~530𝝁m정도

- CD (cell density 세포밀도)

1mm²안에 들어있는 내피 세포의 숫자 갯수입니다. 각막내피는 육각형 모양의 세포이며 단층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각막내피세포가 500cell/mm²이하면 각막기능 부전과 각막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각막내피는 한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아 손상된 부위의 밀도가 줄어든다. 출생 직후 가장 높은 밀도인 3000cell/mm²정도 이며 나이가 들수록 줄어든다. 각막 세포가 손상되어 밀도가 줄어든 곳에는 남아있는 세포가 이동하거나 커지면서 손상 부분을 메꾸어준다. 정상 값은 1800~2000이상으로 본다.

- CV(coefficient of variation 세포면적변이계수)

세포면적의 변이계수는 세포면적의 변이가 많을 수록 CV값은 커지며 변이가 많다는 것은 세포 손상으로 인한 세포크기의 변화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표준편차는 SD, 평균값은 AVG or AVE값을 의미한다. 위 사진에서의 CV 값이 43으로 결과가 나와있지만 SD와 AVG값을 통해서도 계산할 수 있다.

CV(43)=162(AD)/375(AVG)X100%

CV 값이 커질수록 세포의 변이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CV 값이 30 이하일 경우 정상이며 40이상일 경우 비정상을 의미한다. 비정상은 세포 면적의 다양함, 다면성과 다형성을 의미한다.

- HAX(6A, Hexagonality 육각형성)

세포의 모양을 판단하는 수치이며 수치가 클수록 6각형성 정상 모양 세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60이상이 정상을 의미한다.

 

SM 결과지에서 CV가 40을 초과하고 HAX가 50 미만이면 수술 후 각막부종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